Akademska digitalna zbirka SLovenije - logo
E-resources
Full text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과 체화된 인지이론을 적용한 관...
    김민철; Min-cheol Kim; 임선영; Sun-young Lim

    Ch'eyuk kwahak yŏn'gu, 12/2022, Volume: 33, Issue: 4
    Journal Article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확장된 계획행동이론과 체화된 인지이론을 관람형 태권도 관람객들의 관람행동에 적용하여 관람행동을 유도할 수 있는 주요 요인들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방법 2019년 10월부터 2020년 1월까지 개최된 관람형 태권도 관람객 330명을 표본집단으로 선정하여 연구자가 직접 관람현장에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불성실하게 응답된 25부를 제외한 305부를 최종 유효표본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방법으로는 SPSS 24.0 및 AMO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 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태도는 관람형 태권도 관람객의 관람지속욕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주관적 규범은 관람형 태권도 관람객의 관람지속욕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확장된 계획행동이론의 지각된 행동통제는 관람형 태권도 관람객의 관람지속욕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확장된 계획 행동이론의 추가변수인 사전지식은 관람형 태권도 관람객의 관람지속욕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관람형 태권도 관람객의 관람지속욕구는 체화된 인지의 관람내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관람형 태권도 관람객의 관람지속욕구는 체화된 인지의 관람환경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일곱째, 관람형 태권도 관람객의 관람지속욕구는 관람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덟째, 체화된 인지의 관람내용은 관람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아홉째, 체 화된 인지의 관람환경은 관람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 본 연구는 관람형 태권도 관람객들의 관람행동에 있어 관람객들 스스로가 인식하는 관람행동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 가족 또는 친구들과 같은 주변 인물들이 바라보는 시선과 견해, 환경여건의 통제와 경기관람 몰입에 도움을 주는 사전지식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함을 밝혀주고 있다. 또한 관람형 태권도 경기에 대한 관람객들의 관람내용과 관람 환경의 체화된 인지는 관람객들의 관람행동을 유발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certain factors on spectators' spectating behavior through the analysis of spectator-type Taekwondo spectators’ spectating behavior by applying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embodied cognition theory and considering spectators’ desire to stay. METHODS A total of 305 surveys were used as the final sample. SPSS 24.0 and AMOS 26.0 were used for frequency, correlation, confirmatory factor,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es. RESULTS First, attitudes,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prior knowledge, which are predictors of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pectators’ desire to stay. Second, the spectators’ desire to sta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pectators’ content, environment, and behavior. Third, the spectators’ content and environment, which are sub-factors of the embodied cognition theor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spectators’ behavior. CONCLUSIONS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attitudes,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prior knowledge, which are predictors of the extended theory of planned behavior,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mbodied cognition and spectator behavior of spectator-type Taekwondo specta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