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MB - logo
UMNIK - logo
 
E-resources
Full text
Peer reviewed
  • 청소년의 공동반추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
    박지은; Park¸ Ji-eun; 이소연; Lee¸ So-yean

    한국놀이치료학회지, 08/2021, Volume: 24, Issue: 3
    Journal Article

    본 연구는 청소년의 공동반추의 하위요인과 우울증상의 관계를 검증하고, 청소년의 공동반추의 하위요인과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1-2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170명을 대상으로 ‘공동반추 척도(CRQ)’, ‘특질 초기분 척도(TMMS)의 정서인식 명확성 문항’, ‘우울척도(CES-D)’를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우울증상은 공동반추의 하위요인인 ‘문제에 대한 반추적 토의’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정서인식 명확성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청소년의 공동반추 하위요인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문제에 대한 반추적 토의’만이 우울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문제에 대한 반추적 토의’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공동반추의 하위요인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에 대한 반추적 토의’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조절효과를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청소년의 우울증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정서인식 명확성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으며, 공동반추의 속성 중 ‘문제에 대한 반추적 토의’와 정서인식 명확성을 함께 고려할 필요성이 시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ub factors of co-rumination on depressive symptom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between the sub factors of co-rumin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in adolescents. The subjects comprised 170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epressive symptoms reveal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n adolescent’s ‘ruminative discussion on a problem’ an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emotional clarity. Second, only adolescent’s ‘ruminative discussion on a problem’ was see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ve symptoms. Third, emotional clarity proved to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dolescent’s ‘ruminative discussion on a problem’ and depressive symptoms. Thus, this study confirmed the importance of taking emotional clarity into account whe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an adolescent’s ‘ruminative discussion on a problem’ and depressive sympto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