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 - logo
E-resources
Full text
  • 니콜라 부리오의 포스트프로덕션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
    주세균; Ju Se Kyun; 김영호; Kim Young Ho

    기초조형학연구, 06/2023, Volume: 24, Issue: 3
    Journal Article

    이 연구의 목적은 니콜라 부리오의 포스트프로덕션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에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모방에서 시작된 이미지 차용을 시작점으로 하여, 미술사에서 차용의 큰 흐름을 따라가며, 그 과정에서 형성되는 의미의 구조를 알레고리와 상호텍스트적 성격으로 분석한다. 또한, 포스트프로덕션의 형식 및 방법론과 기존 미술에서의 차용 사이의 유사점을 살펴본다. 이어, 차용으로서의 포스트프로덕션에서 발견되는 상호텍스트적 성격을, 부리오가 『포스트프로덕션』에서 소개하는 리크리트 티라바니자와 다니엘 플룸의 작품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부리오는 1990년대 이후의 미술 실천에서 기존 작품들의 이미지와 형식을 차용하는 방식이 다수 발견된다고 주장한다. 전 세계는 인터넷 망으로 촘촘히 연결되어 있고, 시공간의 거리감은 동시대의 인터넷 공간을 통해, 사용가능한 문화적 생산물들의 다양함으로 전환된다. 포스트프로덕션의 방법론을 사용하는 작가들은 마치 DJ가 디제잉 프로그램을 다루는 것처럼, 이미지와 형식을 목록화하고, 편집하고, 재조합하는 방식으로 작품을 제작한다. 미술사에 풍부한 선례를 남긴 이미지 사용 방식인 ‘차용’은 포스트프로덕션에서도 중요한 방법론으로서 역할한다. 즉, 포스트프로덕션에서 차용은 형식의 구축과 의미 구조의 직조에 동시에 작용하여, 작품에 덧붙여진 이미지와 형식들이 텍스트로서 다면적 의미 구조를 만들어 낸다. 따라서 이 연구의 필요성은 기존의 차용 방식과 차이점을 보이는 포스트프로덕션을 바탕으로 동시대미술에서의 차용의 역할을 재확인하고, 구체적 사례를 통해 포스트프로덕션의 상호텍스트적 성격과 역할을 확인하는 데 있다. 티라바니자와 플룸은 비물질적 내러티브와 디제잉의 편집방식을 받아들여 작품의 접촉 경로를 확장시키고, 이를 통해 다면적 의미를 만들어내는 상호텍스트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intertextuality manifested in the postproduction of Nicolas Bourriaud. The research method starts with the imitation and appropriation of images as a starting point, follows the major trends of appropriation in art history, and analyzes the structure of meaning formed in the process through allegory and intertextual characteristics. Furthermore, it examines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forms and methodologies of postproduction and appropriation in traditional art. Subsequently, the intertextual characteristics found in postproduction as appropriation are analyzed, with a focus on the works of Rirkrit Tiravanija and Daniel Pflumm introduced by Bourriaud in his book “Postproduction.” Bourriaud claims that the practice of appropriating existing artworks’ images and forms has been found in numerous art practices since the 1990s. With the world tightly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the sense of spatial and temporal distance is transformed into the diversity of available cultural products through contemporary internet space. Artists using postproduction methodologies create their works by listing, editing, and recombining images and forms, much like a DJ manipulates DJing software. The image usage method, which has left rich precedents in art history,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methodology in postproduction as well. In other words, appropriation in postproduction simultaneously acts as a means of constructing form and weaving a textual structure of multiple meanings by appending images and forms to the artwork. Therefore, the necessity of this research lies in reaffirming the role of appropriation in contemporary art based on postproduction, which shows differences from conventional appropriation methods, and confirming the intertextual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postproduction through specific cases. Tiravanija and Pflumm accept the editing style of non-material narratives and DJing, expanding the pathways of contact in their works and thereby creating multidimensional meanings through intertextual characteristics.